1 조선철학사 연구의 방법론에 대하여
|
정성철
|
2 고대일본의 철학사상 발전에 준 조선민족의 영향
|
한명환
|
3 림춘의 창작과 의인전기체 산문
|
리성
|
4 리황의 철학사상에 대하여
|
변정암
|
5 서경덕의 기일원론철학사상에 대하여
|
량만석
|
6 신채호의 문학의 기본특징
|
한중모
|
7 현 시기 조선에서 널리 장려되고 있는 민족명절과 민속놀이에 대하여
|
리재선
|
8 주체사상의 견지에서 본 유교사상의 평가 문제
|
김화종
|
9 문학의 주체성과 그 구현에서 나서는 문제
|
고철훈
|
10 우리나라 민족고전의 실태와 민족고전학의 건설에 대하여
|
최태권
|
11 장편소설『피바다』에 대하여
|
고철훈
|
12 일본의 력사교과서 왜곡책동과 군국주의 부활
|
조희승
|
13 사회과학원에서의 과학후비 육성 경험
|
전국봉
|
14 崔致遠의 '眞鑑選師碑銘'攷
|
이구의
|
15 나말여초 최치원과 최언위
|
이현숙
|
16 聞慶地方의 九曲園林과 九曲詩歌 연구
|
김문기|안태현
|
17 景玉 李篁의 서원교육관과 그 시대적 의미
|
서신혜
|
18 塤搜 鄭萬陽(1664~1730)의 土地制度 改革論
|
우인수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