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문
|
|
1. 신유학 연구의 현재와 미래
|
윌리암 드 베리(Wm. Theodore de Bary)
|
2. 미국에 있어서의 퇴계학연구의 전망
|
에드워드와그너(Edward W. Wagner)
|
3. 유럽출판물에 나타난 유학과 퇴계학에 관한 기술
|
잉거보르크 괴텔(I. G thel)
|
4. 중국의 철학적 전통과 이퇴계의 가르침
|
뷰로프(G. Burov)
|
5. 퇴계의 주자이해
|
윙칫 찬(Wing_tsit chan)
|
6. 주자학에 대한 퇴계의 독창적 해석
|
웨이밍 뚜(Wei_ming Tu)
|
7. 주자학 계승자로서의 퇴계 철학의 독창성
|
찰스 푸(Charles W. Fu)
|
8. 주자의 '易學啓蒙'과 이퇴계
|
티모시 펠란(Thimothy S. Phelan)
|
9. 이황의 理學通錄에 나타난 주희의 제자들 _______
|
쯘안 리우(Ts'un_yan Liu)
|
10. 조선초기의 이단배척과 퇴계·율곡의 이단론
|
마티나 도힐러(Martina Deuchler)
|
11. 이퇴계의 심성론
|
웨이밍 뚜(Wei_ming Tu)
|
12. 이퇴계의 지적자아 정의에 관한 고찰
|
웨이밍 뚜(Wei_ming Tu)
|
13. 이퇴계의 인간관
|
잉거보르크 괴텔(I. G thel)
|
14. 퇴계 靜坐法의 座標
|
토마스 강(Thomas H. Kang)
|
15. 퇴계사상의 종교적 성격
|
성배 박(Sung_bae Park)
|
16. 퇴계의 천인관
|
웨이밍 뚜(Wei_ming Tu)
|
17. 퇴계의 <<聖學十圖>>
|
미카엘 칼톤(Michael C. Kalton)
|
18. 퇴계 사칠론에 관한 일고찰
|
옥숙 김(Oak_sook Kim)
|
19. 사단칠정론 서설
|
미카엘 칼톤(Michael C. Kalton)
|
20. 퇴계 사단칠정론의 철학적 검토
|
찰스 푸(Charles W. Fu)
|
21. 이퇴계의 사칠론에 관한 새로운 해석
|
충잉 쳉(Chung_Ying Cheng)
|
22. 사·칠 논쟁을 통해 본 퇴계의 인성론
|
웨이밍 뚜(Wei_ming Tu)
|
23. 퇴계의 문학관
|
하리나 오가렉 초이(Halina Ogarek_Czoj)
|
24. 이퇴계 非哲理詩의 境界를 논함
|
쪈옌 리우(Ts'unyan Liu)
|
25. 퇴계학과 일본
|
부트(W. J. Boot)
|
26. 한국철학사에 있어서 이퇴계의 위치
|
헬가 피히트(Helga Picht)
|
27. 성리학 도덕규범의 창안자로서 이퇴계
|
파울로 산탄겔로(Paolo Santangelo)
|
28. 퇴계학은 역사적 학문인가? 초역사적 학문인가?
|
존 굴드(John I. Goulde)
|
29. 퇴계학에 있어서 도덕과 사회정의
|
옥숙 김(Oak_sook Kim)
|
30. 관리와 정치가로서의 이황
|
우쉬코프(A. M. Oushkov)
|
31. 근세유학과 퇴계사상의 현대적 의의
|
워렌 스미스(Warren. W. Smiht)
|
32. 이퇴계와 현대생활
|
쪈옌 리우(Ts'unyan Liu)
|
33. 퇴계학이 미국인에게 주는 교훈
|
미카엘 칼톤(Michael C. Kalton)
|
34. 체코슬로바키아에서의 한국학 연구
|
블라디미르 푸체크(Vladimir Pucek)
|
35. 유교와 러시아 사회사상
|
쿠즈네트소프(V. S. Kuznetsov)
|
36. 유학과 마르크시즘
|
뷰로프(G. Burov)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