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基調講演:凝窩 李源祚의 道學사상과 시대의식
|
금장태
|
2 凝窩 李源祚의 학문과 寒洲에 대한 영향
|
허권수
|
3 한국 性理學 七情理發說의 계보 상에서의 凝窩 李源祚
|
이상하
|
4 凝窩 李源祚의 生涯와 詩世界의 몇 局面
|
강구율
|
5 凝窩 李源祚의 官歷과 三政 釐正방안
|
배재홍
|
6 상주 동학교와 동학가사 책판 및 판본 연구
|
___________김문기,김용만
|
7 정인홍의 비평정신과 창작의 실제
|
정우락
|
8 塤? 鄭萬陽과 ?? 鄭葵陽의 文學觀 一考
|
김영주
|
9 한국 『명심보감』의 전파와 수용 양상에 관하여
|
성해준
|
10 琉璃의 동아시아 전파에 관한 一考察
|
박세욱
|
11 고려시대 문인의 蘇東坡 詩文 受容 및 그 意義(1)
|
조규백
|
12 曾點의 사상적 좌표에 대한 검토 -朱子의 관점을 중심으로-
|
임종진
|
13 基督敎社會主義의 韓國的 受容에 對한 一考察 -崔文植 牧師의 思想과 實踐을 中心으로-
|
정태식
|